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공학도의 잡다한 시선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공학도의 잡다한 시선

검색하기 폼
  • SELECT * (505)
    • 블로그를 열며 (2)
    • C#(.NET) (34)
      • SQL(ADO.net) (2)
      • WPF (8)
      • Unity (0)
    • Python (15)
      • TDD (1)
    • Web (20)
      • HTML5·css (10)
      • Node.js (10)
    • JavaScript (8)
      • jQuery (3)
    • Linux (8)
      • Ubuntu (6)
    • SQL (8)
      • MySQL (8)
    • Android (19)
      • Kotlin (14)
    • java (1)
    • Win32(API) (9)
    • System Programming (16)
    • Socket Programming (11)
    • c언어 (15)
      • c++ (9)
    • MFC (13)
    • Ethereum Solidity (11)
    • AI (6)
      • 딥러닝 (6)
    • algorithm (3)
    • DesignPattern (1)
    • Study (0)
    • Project (2)
    • Conference (1)
    • Portfolio (1)
    • 컴퓨터시스템구조 (1)
    • 디지털영상처리 (1)
    • 정보처리기사(최종합격) (2)
      • 전자계산기 구조 (2)
    • 유용한 정보 (136)
      • 생활건강 (42)
      • IT·컴퓨터 (59)
      • 게임 (5)
      • 기타지식 (7)
      • 가상화폐(Cryptocurrency) (14)
      • 경제·금융 (4)
    • daily life (145)
      • REVIEW (12)
      • FOOD (39)
      • MOVIE (10)
      • BOOK (7)
      • MUSIC (11)
      • TRAVEL (15)
      • GAME (1)
      • Beauty&fashion (18)
      • IT (11)
      • thinking (6)
      • 투자(investment) (14)
    • ADMIN (15)
      • 기사스크랩 (5)
      • GoogleAD (5)
      • Youtube (0)
  • 방명록

2020/07 (13)
[코틀린] typealias 예제(examples)코드

이번 글에서는 타입에 대해 또다른 별칭을 붙일 수 있는 코틀린의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🎨 타입에 별명을 짓는 키워드 typealias는 말 그대로 타입(type) 별명(alias)를 붙여서 만들어진 키워드입니다. 원래 정해져있는 타입을 다른 이름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면 편리한 기능입니다. 그러면 아주 간단한 예제 코드를 보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💎 예제 코드 (examples) 아래는 typealias를 사용하는 예제코드입니다. typealias Number = Int fun main(args: Array): Unit{ val a: Number = 10 println(a) } 실행 결과 아래는 코드의 실행 결과입니다. 10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..

Android/Kotlin 2020. 7. 22. 08:00
[코틀린] 문자열 안에 변수 바로 사용하기 ${} (Syntactic Sugar)

문자열 ("") 내부에 바로 변수,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, 얼마나 편할까요? C언어에서 사용하는 형식 지정자 %d, %s 등을 쓰지 않고 바로 쓸 수 있는 방법이 코틀린에 있습니다. 🍹 예제 코드 fun main(args: Array): Unit{ val a = 10 val b = 20 println("a의 값은 $a") // "a의 값은 " + a // Syntactic Sugar println("b의 값은 $b") println("a + b = ${a + b}") println("\\\$를 쓰면 어떨까") println("나의 월 수익은 10,000\$다") } 실행 결과 a의 값은 10 b의 값은 20 a + b = 30 \$를 쓰면 어떨까 나의 월 수익은 10,000$다 Proc..

Android/Kotlin 2020. 7. 21. 08:00
[코틀린] 문자열 String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 (초보, 입문자용)

저번 글에서는 문자 하나를 저장하는 Char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, 이번 글에서는 문자 여러 개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🥤 문자를 여러 개 담을 수 있는 타입이라고 해서 문자열 타입이라고 하며 String 키워드를 사용합니다. 예제 코드 다음은 예제 코드입니다. 아래 코드를 바탕으로 String에 대해서 한 번에 이해합니다. 🍇 fun main(args: Array): Unit{ var str: String = "Hello" println(str) str = str + "\nKotlin!" println(str) println(str[8]) val num = 10 * 5 + 3 println(str + num) println("Kotlin"[0]) } 실행 결과 다음..

Android/Kotlin 2020. 7. 20. 08:00
[코틀린] 문자 타입 Char 그리고 유니코드에 대한 고찰

코틀린에서 문자 하나를 저장하는 형식에 대해서 소개합니다. 🌑 예제 코드 아래는 예제(예시) 코드입니다. fun main(args:Array):Unit{ var ch:Char = 'A' //2byte println(ch) ch = '\uAC00' //unicode (0~65535) (0~FFFF) println(ch) ch = '가' println(ch.toInt()) } 실행 결과 아래는 실행 결과입니다. A 가 44032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코드 설명 코드에 대한 설명을 라인별로 설명합니다. 2(번째 줄): ch라는 이름의 Char형 변수를 선언했습니다. 코틀린에서는 문자하나를 저장하기 위해서 Char 타입을 사용하며 그 크기는 2바이트입니다. 3: ch를 출..

Android/Kotlin 2020. 7. 19. 14:26
[코틀린] 실수(Float, Double) 타입을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 (오차)

이전 글에서 정수 형식과 실수 형식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 그러나 실수 형식의 경우 출력결과가 예상했던 값이 아니라 이상한 값이 나오는 것을 보고 의문점을 남겨두었었죠.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그 의문점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예제 코드 아래는 예제 코드 입니다. fun main(args:Array):Unit { println(0.1f + 0.1f + 0.1f) println(0.1f +0.1f +0.1f +0.1f +0.1f +0.1f +0.1f +0.1f +0.1f +0.1f) println(0.1f * 10) } 아래는 예제 코드의 실행 결과입니다. 0.3 1.0000001 1.0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코드 해설 코드에 대한 해설을 각 줄마다 진행해보겠습니다..

Android/Kotlin 2020. 7. 19. 00:29
[코틀린] 정수, 실수 타입 정리 한 번에 끝내기 (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)

오늘은 코틀린에 있는 정수 타입(형식)과 실수 타입(형식)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다른 언어와 비슷한 점도 있으나 다른 점 또한 존재하므로 한 번에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그럼 바로 예제 코드를 보시죠. 🧊 예제 코드 예제 코드입니다. fun main(args:Array):Unit { val a:Byte = 125 val b:Short = (100 + 200) * 100 //30000 var c:Int = 12_4354_6538 //가시성 향상 표기법 c = 0xFF_88_88 //0x는 16진수 c = 0b01010010_01100011_01110101_01000101 //0b는 2진수 //8진법은 지원x var d:Long = -543_7847_3984_7238_4723 //자동 Long ..

Android/Kotlin 2020. 7. 18. 01:20
[코틀린] 비트 연산자 7개 한 번에 이해하기 (and, or, xor, inv, shl, shr, ushr)

이번 글에서는 코틀린의 비트 연산자(Bitwise Operator)를 사용해서 비트 연산을 해보고 결과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😁 예제 코드 fun main(args:Array):Unit { println(15 and 7) println(5 or 2) println(15 xor 5) println(32767.inv()) println(1 shl 3) println(8 shr 1) println(-17 ushr 2) } //결과 7 7 10 -32768 8 4 1073741819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우선 코드와 결과만 보고 한 번 추측을 해봅시다. 15의 경우 비트로 2진수로 나타내면 1111, 7의 경우 2진수로 나타내면 0111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and..

Android/Kotlin 2020. 7. 14. 20:43
[코틀린] 증감 연산자(++,--) 이해하는데 3초컷

코틀린의 증감 연산자를 3초만에 이해해보자. (다른 언어와 비슷해서 3초컷에 이해 가능) (이 말 보자마자 이해한 사람 있을 듯.) 🤨 예제 코드 fun main(args:Array):Unit{ var a = 100 var b = 50 println(a++ +b) println(a) println(--b) } 위 코드를 실행하면 어떻게 될지 머릿속에서 예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. 먼저 ++a, a++ 의 차이점을 아셔야합니다. ++a는 해당 줄(line)에서 a에 1을 더하고 a에 할당합니다. 이에 반해, a++ 해당 줄(line)에서는 a값을 그대로 유지하며, 바로 다음 줄(line)로 가기 바로 직전 0.0000001초 진전에 a에 1을 더한 값을 a에 다시 할당합니다. 150 101 49 Proces..

Android/Kotlin 2020. 7. 12. 22:00
[코틀린] 산술 연산자 +-*/% (Arithmetic Operator) 초간단 이해법

코틀린에서도 산술 연산자가 당연히 있다. 다른 언어와 차이점이 크게 없는데 다른 점도 또한 있으니 이번 글을 통해서 한 번 알아가기를 바랍니다. 🍕 예제 코드 fun main(args:Array):Unit { val num:Int = 15 - 3 * 3 val num2:Int = 65 % 6 val num3:Double = 7.5 / 3 + 22.75 val num4:Double = num / num2 + 0.7 println(num) println(num2) println(num3) println(num4) val num5:Double = num.toDouble() / num2 + 0.7 println(num5) } 6 5 25.25 1.7 1.9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..

Android/Kotlin 2020. 7. 11. 22:00
[코틀린] 리터럴(literal) 에도 type이 있다는 것을 알았는가

이전 글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지정해주는 것을 보았다. 그러면 당연히 리터럴에도 타입이 존재한다. 예제 코드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가도록하자. 😀 개발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 것 처럼 보일 수 있다. 예제 코드 fun main() { val pizza = 12900 - 1000 + 99 println(pizza) } 11999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예제 코드 2번 라인을 보게되면 정수 3개를 덧셈 뺄셈 하는 것을 볼 수 있다. 코틀린에서는 정수를 저렇게 쓰는 경우 자동으로 Int로 간주한다. 그렇기 때문에 pizza를 선언할 때 :Int 라고 따로 명시하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타입을 Int로 지정해주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한 것이다...

Android/Kotlin 2020. 7. 10. 22:00
이전 1 2 다음
이전 다음
최근에 올라온 글
  • 코틀린 주석 다는 방법 (⋯
  • [코틀린] typealias 예제(⋯
  • [코틀린] 문자열 안에 변⋯
  • [코틀린] 문자열 String⋯
최근에 달린 댓글
  • [승인대기]
  • [승인대기]
  • [승인대기]
  • while 문에 넣고 안나올 때⋯
네이버 이웃추가
TAG
  • 일본여행
  • 가상화폐
  • 다운로드
  • 코틀린
  • 암호화폐
  • c#
  • 후기
  • 비트코인
  • 리뷰
  • 파이썬
more
«   2020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      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  
글 보관함
  • 2020/08 (1)
  • 2020/07 (13)
  • 2020/06 (12)
  • 2020/04 (3)

Copyright 2016. 공학도의 잡다한 시선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