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 글에서 값을 받기만하고 저장해두지 않으면 값이 날라가 버리는 것을 알았다.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.
예제 코드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:Unit
{
var total:Int
total = 0
val a:Int = 95 + 9 + 15 - 3
println(a)
val b:Int = 41 + 77 + a
println(b)
total = a + b
println(total)
}
116
234
350
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
3: 코틀린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var 키워드를 사용해서 변수를 선언한다.
코드에서 var total:Int의 경우 var는 변수라는 것을 말하며, total은 변수명, Int는 타입을 말한다.
4: total = 0 으로 변수를 초기화 해준다. (0을 할당해준다.)
6: 코틀린에서 상수는 val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한다. var, val 헷갈릴 수도 있으나 중요한 것이므로 잘 구분해야한다. 이때 상수란 한번 초기화 하면 나중에 절대로 변하지 않는 값을 말한다. 변경하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.
9: 상수 b를 선언하고 초기화 해주었다. 이때 할당해둔 a를 사용하여 더했다.
12: total 변수에 a와 b상수를 더하여 할당했다.
13: 출력 시 값이 모두 더해진 350이 출력된다.
결론
코틀린은 변수는 var, 상수는 val 키워드로 선언할 수 있으며, var 변수명:타입 패턴으로 선언한다.
3번 라인의 경우 밑줄이 쳐진 이유는 바로 밑에 total을 초기화 하는데 이것을 한 줄로 간단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인텔리전스가 지적해주는 것이다.
'Android > 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틀린] 증감 연산자(++,--) 이해하는데 3초컷 (0) | 2020.07.12 |
---|---|
[코틀린] 산술 연산자 +-*/% (Arithmetic Operator) 초간단 이해법 (0) | 2020.07.11 |
[코틀린] 리터럴(literal) 에도 type이 있다는 것을 알았는가 (0) | 2020.07.10 |
[코틀린] 변수(Variable) 선언하기 + 상수 사용법 (1) | 2020.07.09 |
[코틀린] 리터럴(Literal), 연산자(Operator), 표현식(Expression) (0) | 2020.07.08 |
[코틀린] 헬로우 월드 (Kotlin - Hello world!) print + 자바와 차이점 (0) | 2020.07.07 |